🎁 출산 및 양육 지원
첫만남이용권
- 첫째아: 200만 원
- 둘째아 이상: 300만 원
- 신청 방법: 출생신고 후 국민행복카드로 자동 지급
아동수당
아이돌봄 서비스
- 지원 대상 확대: 기존 3자녀 이상 가구에서 2자녀 가구까지 확대
- 지원 내용: 돌봄 서비스 우선 제공 및 이용 요금 감면
- 신청 방법: 아이돌봄서비스 공식 홈페이지에서 신청
📚 교육비 지원
국가장학금
- 지원 대상: 2자녀 이상 가구의 대학생 자녀
- 지원 금액:
- 소득 1~3구간: 연 최대 570만 원
- 소득 4~6구간: 연 최대 420만 원
- 소득 7~8구간: 연 최대 350만 원
- 소득 9구간: 연 최대 100만 원
- 신청 방법: 한국장학재단 홈페이지에서 신청
지방자치단체별 교육비 지원
- 일부 지자체에서는 다자녀 가구를 위한 입학축하금, 교육비 지원 등을 제공하고 있습니다.
- 예: 경남교육청은 2자녀 이상 가정에 자녀 1인당 30만 원 지급
🚗 교통 및 세금 혜택
자동차 취득세 감면
- 2자녀 가구: 취득세 50% 감면
- 3자녀 이상 가구: 취득세 100% 면제
- 신청 방법: 차량 등록 시 관할 시·군·구청에서 신청
대중교통비 환급 (K-패스)
- 2자녀 가구: 대중교통비 30% 환급
- 3자녀 이상 가구: 대중교통비 50% 환급
- 신청 방법: K-패스 홈페이지 또는 앱에서 등록 후 자동 적용
KTX·SRT 할인
- 2자녀 가구: 운임의 30% 할인
- 3자녀 이상 가구: 운임의 50% 할인
- 신청 방법: 코레일 홈페이지에서 다자녀 행복 가족 정보 등록
🏠 주거 지원
보금자리론 우대금리
- 2자녀 가구: 0.5%포인트 우대금리 제공
- 3자녀 이상 가구: 0.7%포인트 우대금리 제공
- 신청 방법: 한국주택금융공사 홈페이지에서 신청
공공임대주택 우선 공급
- 다자녀 가구를 위한 공공임대주택 우선 공급 혜택이 제공됩니다.
- 신청 방법: 거주 지역의 주민센터나 LH공사 등을 통해 신청
💡 기타 혜택
공공요금 감면
- 전기요금: 30% 감면
- 도시가스 요금: 일부 지자체에서 감면 혜택 제공
- 신청 방법: 한국전력 및 각 도시가스 회사 홈페이지에서 신청
다자녀 우대카드
- 혜택: 다양한 가맹점에서 할인 혜택 제공
- 신청 방법: 거주 지역의 주민센터나 해당 카드사에서 신청
✅ 마무리
2025년부터 확대된 다자녀 가구 혜택은 자녀 수에 따라 다양한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. 특히, 2자녀 가구도 많은 혜택을 누릴 수 있으므로, 해당 가정에서는 적극적으로 신청하여 혜택을 받으시기 바랍니다.
더 자세한 내용은 각 지자체의 공식 홈페이지나 주민센터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